내용요약 전(全) 금융권 가계대출 10개월째 증가…다중채무자 450만명 달해
가계대출 10개월째 증가…대출 건전성 저하·소비 침체 우려 커져
전(全) 금융권 가계대출이 10개월째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3곳 이상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역대 최다 수준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전(全) 금융권 가계대출이 10개월째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3곳 이상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역대 최다 수준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전(全) 금융권 가계대출이 10개월째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세 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가 역대 최다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융권 안팎에서 가계부채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금융사의 건전성 우려와 함께 소비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위원회·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1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해 12월 대비 8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2월의 2000억원 증가와 비교하면 매우 큰 폭의 확대했으며,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 연속 증가세다.

특히 은행권 가계대출이 지난해 12월 대비 3조 4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2월(3조 1000억원)과 비교하면 소폭(3000억원) 상승했으나, 증가세가 꺽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이처럼 지난해 4월부터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세 곳 이상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역대급으로 치솟고 있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2분기의 448만명보다 2만명이 늘어난 수치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또한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22.7%) 역시 사상 최대치다. 

문제는 다중채무자의 상환 능력도 이젠 한계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1.5%로 추산된다. 이는 지난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대출 한도와 높은 금리 등으로 추가 대출을 통한 돌려막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로 집계됐다. 26.2%(118만명)는 70%를 넘었으며 14.2%(64만명)는 100%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DSR은 소득과 비교해 대출받는 사람의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로, 해당 대출자가 한해에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일반적으로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을 뤈리금을 갚는 데 사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소득(소득 하위 30%)과 신용도(신용점수 664점 이하)까지 낮은 ‘취약 차주’의 상환부담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취약차주 비중은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를 차지했다. 직전 분기(6.4%)보다 0.1%p가 증가한 것이며, 이는 지난 2020년 3분기(6.5%) 이후 3년 만에 최대치다. 

3분기 말 기준, 현재 취약 차주의 평균 DSR은 63.6%이며, 취약 차주 가운데 35.5%(46만명)의 DSR이 70%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대출은 전체 취약 차주 대출액의 65.8%(63조 4000억원)를 차지했다.

멈출 줄 모르는 가계대출 증가세에 다중채무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가 하면 이들의 연체율도 증가하면서 대출 건전성 저하와 차주의 소비성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경제규모에 비해 과도한 수준의 가계부채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가계의 채무상환부담을 증가시켜 소비를 위축시키고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면서 "차주의 DSR이 상승하면서 소비 임계수준을 상회하는 고DSR 차주가 늘어날 경우 이는 차주의 소비성향 하락으로 이어져 장기에 걸쳐 가계소비를 제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차주의 상환능력에 기반한 DSR규제 정착 등을 통해 가계대출 증가폭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한편, 대내외 충격에 대비하여 분할상환 비중을 확대하는 등 가계대출의 질적구조를 꾸준히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취약차주 및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등, 취약 부문의 대출 건전성이 저하되고 있는 만큼 금융기관은 부실이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는 한편 연체채권 관리에도 힘쓸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양경숙 의원은 "역대 최다인 다중채무자수와 4년만에 가장 높은 연체율 등, 가계부채 지표는 계속 나빠지는 동안 정부는 대출수요를 자극시킬 소지가 있는 정책 상품들을 지속적으로 내놓고 있다”면서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에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속도와 건전성 관리를 계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