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30대 다중채무 개인사업자 연체액 증가율, 연체율 모두 최상위
소액생계비 대출 이자미납률도 높아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2~30대 청년들의 부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2~30대 청년들의 부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20~30대 청년들의 부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자영업자의 경우 다중채무를 안고 있는 청년들의 연체액과 연체율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으며, 소액생계비 대출 이자 미납률 역시 청년층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이들의 재무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개인사업자 가계·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빌려 추가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20~30대 자영업자의 연체액과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전 연령층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자영업자)의 연체액은 21조7955억원으로 2022년 14조2950억원보다 52.5%(7조5005억원) 증가했고, 평균 연체율도 2.12%에서 3.15%로 1.03%p 상승했다. 

특히 20~30대 청년층 자영업자의 증가율이 뚜렷했다. 

작년 다중채무 개인사업자 연체액 증가율을 보면, 30대가 62.5%(1조7039억원→2조7691억원)로 가장 높았다. 

연체율은 29세 이하가 6.5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서 30대가 3.90%로 뒤를 이었다. 1년 사이 연체율 상승 폭도 29세 이하(2.22%p)와 30대(1.63%p)가 1, 2위를 기록했다. 

가계부채 증가세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는 주택담보대출에서도 20~30대 청년층의 연체율도 독보적인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은행권에서 만 20대 이하 연령층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9%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0.24%)보다 0.15%p 높아진 것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주택가격이 높은 시기에 담보대출을 받았다면 고금리로 인해 상환해야 할 원리금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문제는 예상보다 집값이 크게 오르지 않고,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경기 침체와 고물가까지 더해지고 있어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저신용자·저소득자에게 100만원 한도로 돈을 빌려주는 '소액생계비대출'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지난해 11월말 기준, 20대 이하의 소액생계비 대출 이자미납률은 15.5%로 가장 높았으며, 30대가 12.7%로 뒤를 이었다. 전 연령층의 평균 이자미납률인 10.5%를 훌쩍 넘어선 수치다. 

소액생계비 대출은 신용 평점 하위 20%, 연소득 3500만원 이하 성인에게 연 15.9% 금리로 최대 100만원을 빌려주는 정책금융이다. 평균 대출액(58만원) 기준 월평균 이자액은 7700원이다. 

금융권 안팎에서도 청년층의 부실 대출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2013~2019년에 취급된 가계대출 가운데 20대 이하 차주의 대출 비중은 29.6%였으나 2020~2021년에는 38.3%까지 증가했다"고 강조하며 "해당 차주들의 소득 기반이 다른 연령에 비해 취약한 만큼,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예상보다 높게 상승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하며 청년층이 주택구입과정에서 과도한 차입으로 인해 리스크가 커지지 않도록 부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지수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금융당국은 청년층 가계대출의 연체율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현장 점검을 통해 채무위기 문제의 심각성을 확인해야 한다"며 "소액생계비대출의 경우 별도의 대출 상환 능력을 확인하는 CSS(신용평가모형) 평가 없이 대출 적격 여부만 판단하고 있어 미납에 대한 추가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경숙 의원은 "젊은 층을 비롯한 자영업자들의 급증하는 대출과 취약한 상환 능력을 감안할 때 이대로 방치하다가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확대될 가능성도 작지 않다"면서 "정부와 금융당국은 적극적인 자영업자 부실 채무 경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성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