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저출산·고령화 문제, 총선에 영향 미칠 듯
"젊은 층과 노년 층 표심 둘 다 챙겨야"
제22대 총선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관위에 선거일까지 남은 일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총선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2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관위에 선거일까지 남은 일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사회 전반에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우리나라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2018년 합계출산율 1명이 깨진 이후 계속해서 감소하는 상황이다.

매년 추락하고 있는 출산율은 노동인구 감소로 인한 내수경기 위축과 국가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갈수록 떨어지는 출산율은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이하 총선)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22일 행정안전부의 연령별 인구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 인구수는 5132만 5329명인 가운데, '5060세대' 인구는 1632만 6407명으로 유권자가 될 수 있는 10대를 제외한 '2030세대' 인구(1277만 3034명)와 비교했을 때 355만 3373명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비교해 20대 총선이 실시된 2020년 5060세대 인구는 1538만 9520명으로 2030세대(1367만 9270명)보다 171만 250명 더 많았다. 19대 총선 때인 2016년에 5060세대는 1380만 1082명, 2030세대는 1429만 2568명으로 49만 1486명 차이가 났다.

해를 넘기면 넘길수록 5060세대와 2030세대 간 인구 차가 커지고 있다. 여야가 총선에서 청년층에 대한 공약을 전면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노인 복지대책을 강조하는 것도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관련이 깊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21대 총선 연령대별 투표율 통계를 보면 30대는 57.1%에 불과했던 반면 60대는 80.0%를 기록했다. 당시 전체 투표율이 66.2%였던 점을 감안할 때 30대는 평균보다 9%포인트(p) 밑돌고, 60대는 평균과 비교해 10%p 이상 높았다.

물론 저출산·고령화로 노년층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표심을 정하지 못한 2030세대 무당층은 총선 변수로 꼽힌다. 

18일 공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3월 11~15일 조사, 표본오차±3.1%p) 결과에 따르면 20대 무당층 비율은 15%, 30대는 7.4%로 조사됐다. 이어 50대는 5.8%, 60대는 3.3%로 집계됐다.

2022년 대선의 최대 승부처가 2030세대의 표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시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가 진행한 출구조사 결과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20대 득표율은 각각 47.8%, 45.5%. 30대는 46.3%, 48.1%로 치열했다. 이에 따라 2030세대 무당층의 표심은 22대 총선에서도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2일 장동혁 후보 선거사무소 개소식에서 "제가 호소 드리고 싶은 것은 이번 총선이 어떤 단순한 몇 년 만에 이어지는 총선의 하나냐, 저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이번 선거는 대한민국을 전진시키느냐 후진시키느냐의 선택이다"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아산을 방문해 선거유세에 나선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번 4월 10일은 책임을 묻는 날이다. 거대한 변화의 분수령이다. 모범적인 민주국가로, 희망의 나라로 다시 갈 것이냐가 결정된다"며 "여러분의 손에, 여러분의 미래가, 대한민국의 운명이 달렸다"고 했다.

한 야권 관계자는 "50, 60대 표심은 거의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2030세대의 표가 분산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번 총선은 청년의 표심을 얻는 것과 노년층의 지지도를 확보하는 것 어느 것 하나 놓치면 안 된다고 본다. 여야는 서로 간 심판론을 무기로 내세운 상황이지만 관건은 설득력이다"라고 주장했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