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기업 대부분 이달 말까지 재택근무 연장
제조업은 업무 연속성 저하 우려해 '그림의 떡'
네이버는 신종 코로나비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되면서 원격근무체제에 들어갔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함에 따라 대기업들이 재택근무 기간을 늘리거나 새로 도입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코로나19 예방 차원에서 재택근무를 시작했지만,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화두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DX)을 시험하는 기회로도 활용하고 있다.

다만, 삼성전자를 비롯한 제조업체 상당수는 ‘전사 출근’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보안과 장비 등의 문제로 연구개발(R&D) 직종 등은 재택근무가 제한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지난달 말부터 재택근무를 도입한 대기업들은 사태 장기화에 따라 속속 기간을 연장하고 있다.

주요 그룹 가운데 재택근무에 가장 적극적인 SK는 그룹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와 지주사인 SK가 재택근무 기간을 이달 말까지로 늘렸다.

또 SK이노베이션과 SK E&S 등 주요 계열사들도 각급 학교의 개학 연기 기간에 맞춰 22일까지 2주 더 재택근무한다.

SK그룹은 코로나19 진원지인 중국 우한(武漢)에 현지법인이 있고, 주재원이 확진자로 판정받았다는 점 등에 따라 이번 사태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모습이다. 이미 SK그룹은 가상 데스크톱 환경(VDI) 구축, 공유좌석제 등 ‘스마트 워크’를 시행하고 있다. SK그룹은 보안 문제로 제한했던 카카오톡 PC 버전 설치를 허용했으며, 시스코의 화상회의 시스템인 웹엑스 활용 등을 권고했다.

한화그룹은 4일부터 재택근무에 동참했다. 한화솔루션 등 주요 계열사는 절반씩 출근하는 ‘2부제 재택근무’와 공동휴가 등을 도입했으며 기한은 정하지 않았다.

롯데와 CJ그룹 계열사, 하이트진로와 농심, 삼양식품 등 국내 식품업계도 재택근무와 격일제 근무, 교대 근무 등을 활용해 출근 인원을 최소화며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노력하고 있다.

이밖에 두산과 효성, 코오롱 등도 순환제 또는 사무직 50% 수준의 자율적 재택근무 등의 기간을 13일까지 연기했다.

이처럼 기업들은 이번 대규모 재택근무 시행을 4차 산업혁명과 주52시간제 시행 등에 대비해 구축한 스마트워크 환경을 시험하는 계기로 활용하는 양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재택근무로도 업무 지속성이 확보된 것을 확인한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각종 사무실 임대료, 관리비 등 비용절감 측면으로도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직원이 확진 판정을 받아 서울 용산사옥을 이틀간 폐쇄하고 재택근무를 시행한 LS그룹은 스마트워크 투자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구자열 LS그룹 회장은 지난 6일 임직원에게 보낸 격려 메시지에서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클라우드 업무 환경 등에 대한 투자는 더욱 늘리는 한편, 비용 절감과 불요불급한 투자 축소 등을 통해 대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제조업·R&D 등 ‘재택근무 불가’…“업무 연속성 보장 어려워”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는 ‘전사 출근’ 체제를 유지하는 등 제조업 기반 기업들은 재택근무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삼성전자는 사태 초기부터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업무지속계획(BCP)을 수립했지만, 사무직도 출근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SK그룹 차원의 재택근무에서 제외됐다. SK하이닉스는 임신부 특별휴가 기간을 오늘(8일)까지에서 22일까지로 늘리고 가족돌봄휴가 사용일을 10일에서 30일로 확대했지만, 재택근무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LG전자도 코로나19 사태 악화로 클라우드 시스템을 점검했지만, 재택근무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자율 재택근무 체제를 일주일 더 운영하기로 했다. 팀 단위로 업무에 영향이 없는 선에서 결정하며 임신부와 기저질환이 있는 직원은 재택근무 권고 대상이다.

아울러 제조업 기반 대기업은 협력사들과 상시로 공동 작업해야 하는 특성 등도 있어 재택근무가 쉽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사무직만 재택근무를 하게 되면 생산직과 영업직 등에서 불만이 나올 수 있고 정상 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