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부 잔여지분 매각 조기 발표…이광구 행장 통한 성과경영 연속성 유지

[한국스포츠경제 송남석]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온 나라가 시끄러운 요즘, 금융계에는 15년 만에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의 향후 행보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경영간섭이나 낙하산 인사의 폐해가 온 국민들 앞에 적나라하게 공개된 이후 정권이나 정부의 진의를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무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애초 정부가 매각하려던 우리은행 지분 30%를 모두 팔면서 여론은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하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절반의 성공’에 불과할 뿐이다. 정부는 경영 불개입 선언과 경영이행약정각서(MOU) 해지를 공언했지만, 시장의 의심은 여전하다. 우리은행이‘성공한 매각’, ‘온전한 민영화’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행장 선임에 대한 정부의 개입 가능성과 남은 21%의 지분 처리라는 뇌관을 우선 제거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임기 종료가 다가 온 우리은행장 선임에 정부의 입김이 들어가서는 절대 안 될 일이다. 정부가 매각기간 내내 약속했던 대로 철저하게 민간주주들로 구성된 이사회를 통한 선임절차를 거쳐야 한다. 시장의 의구심을 걷어내는 첫 번째 일이다.

이번에 과점주주로 참여한 증권, 보험, 사모펀드, 자산운용사 등 다양한 이익집단의 목표는 명확하다. 우리은행 주식을 갖고 있는 동안 기업 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려 주가를 상승시켜야 한다. 차익 실현을 위해서다. 매매제한 기한이 1년가량이란 점을 고려하면 내년 한해가 주주들에게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절차상 우리은행장 선임은 내년 3월 정기주주총회 때 이뤄진다. 우리은행은 남은 3개월 안에 시장의 의구심을 떨쳐내고 주주들을 만족시킬만한 경영성과를 내야 한다.

일부 주주들이 조기에 이광구 행장 연임 결정을 바라는 것은 불확실성 해소와 탄력이 붙은 우리은행 경영에 가속도를 내자는 의미다. 그 배경에는 ▲2년 임기 내 민영화 달성 ▲매년 15조원 이상 자산증대 및 1조원 대 당기순이익 실현 ▲주가 50% 상승 등  이 행장이 거둔 성과에 대한 믿음이 깔려있다.

그 다음이 남은 정부지분에 대한 분명한 매각일정 발표와 이행이다. 지난달 13일 매각결과 발표 시 ‘빠른 시일 내’라는 매각의지를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어차피 시장은 철저하게 숫자에 반응하기 마련이다. 시장은 아직도 정부의 잔여 지분 매각 시기에 불신의 시각을 거두지 않고 있다. 언론과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의구심도 여기에 기인한다. 더군다나 내년은 정권 말 아닌가. 매각 일정이 공무원들의 복지부동과 결합하게 될 경우 민영화 의미는 퇴색해버린다. 시장은 정부 지분이 51%일 때나 21%일 때나 우리은행의 최대 주주로 관치금융 바운더리 안에 넣어놓고 있다.

만약, 정부가 차일피일 남은 지분 처분 시기를 미룬다면 2017년부터 돌아올 과점주주들의 지분매각으로 처분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은행이 2010년까지 네 차례의 블록딜을 통해 정부지분을 50%대까지 줄인 경험이 있는 만큼 소량의 블록딜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블록딜 매각공고를 내면 오버행 이슈로 주가가 폭락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우리은행의 경우 정부지분을 민간에 되돌리는 만큼 시장은 반대로 반응할 가능성이 크다. 2010년 4차 블록세일 당시 13,000원대이던 주가가 매각공고 이후 17,000원대까지 치솟은 것이 좋은 예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말이 있다. 이미 우리은행 매각는 흥행에 성공했고, 시장의 관심이 뜨거운 지금이 후속 조치 이행의 적기다. 정부는 조속한 시일 내에 후속 매각계획을 명확하게 밝히고 경영과 관련된 나머지는 철저한 시장논리에 맡겨야 한다. 그래야만 시장이나 주주들은 안심하고 우리은행의 기업 가치 끌어올리기에 ‘올인’ 할 수 있다.

송남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