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효창 두원공과대학교 스마트IT학과 교수
                            방효창 두원공과대학교 스마트IT학과 교수

[한스경제/ 방효창 두원공과대 교수] 7월 극한 호우로 인해 사망•실종자가 50명을 넘고, 1만명이 넘는 이재민, 3만 헥타르가 넘는 농경지가 침수됐다. 사전에 예고된 호우였지만 워낙 많은 비와 산사태, 침수 대비 부족 등으로 피해가 엄청나게 커졌다. 미국의 초강력 허리케인과 역대급 가뭄•산불, 아프리카의 만성적 가뭄, 중국의 대규모 지진•폭우 그리고 우리나라의 극한 호우•한파 등 지구 전체가 이루 말할 수 없는 재난에 직면하고 있다. 작년 영국과 뉴질랜드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기상 이변으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세계에서 50만6770명이 사망했다고 밝힌 바도 있다.

이러한 온난화와 기후위기의 주요 요인으로 정보통신기술(ICT)과 관련된 각종 산업과 프로젝트 그리고 데이터센터의 막대한 전기에너지 사용이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당장 컴퓨터를 끄거나, 일상화된 인터넷과 스마트폰 그리고 세계 경제의 주류가 된 ICT 산업을 중단하거나 없애라고 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면 ICT가 기후위기의 주요 요인이기는 하지만 인공지능을 포함한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예측•예방한다면 기후위기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지 않을까?

지난 2020년 6월 UN 사무총장은 UN 창립 75주년을 맞아 17개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더해 디지털 협력 부분을 추가하기 위해 ‘디지털 협력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보고서 서문에는 “향후 ICT가 세계 전력 수요의 최대 20%까지 차지할 것이며, 그중 3분의 1 정도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될 것”이라며 “한 가지 긍정적인 부분은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환경뿐 아니라 범지구적 생태계를 관찰하고 보호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가 주어졌다”고 밝히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글로벌 지속 가능성과 지구 환경 그리고 인간의 삶을 개선하는 도구로 이용하겠다는 것이다. 

예컨대 농업 분야에서는 빅데이터 플랫폼인 국제열대농업센터(ICC)를 콜롬비아에 설치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가뭄이 심한 캘리포니아의 농장에서는 코벨 그룹과 협력으로 토양과 외부 환경, 농기계와 차량, 식량 재배에 필요한 자원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관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각종 센서와 IoT 기술 그리고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머신러닝 기반 인공지능까지 활용되고 있다. 구글은 10분 분석으로 6시간 내의 일기를 예보하는 인공지능 ‘Now Cast’, IBM은 기상 데이터와 기후변화 위험 분석을 통합한 AI 친환경 솔루션 ‘Environmental Intelligence Suite’를 개발했다. 국내 알체라(Alchera)는 미국 산불 감시원의 100만장이 넘는 CCTV 영상 모니터링을 대체하기 위해 SaaS(사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방식의 AI(인공지능) 산불감시 시스템을 개발해 PG&E(Pacific Gas and Electric Company)와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도시에서는 지멘스(SIEMENS)가 빌딩 에너지 소비 및 탄소배출 감소를 위해 AI 빌딩 관리 솔루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바르셀로나에서는 리벨리움과 협력해 광장의 공해 및 소음 감시를 위해 센틸로(Sentilo)를 활용하고 있다. 메타(meta)는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이 기술을 사물인터넷(IoT)과 관련된 혁신을 위한 공동체인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Open Compute Project)에 공개한 바 있다. 이처럼 인공지능을 포함한 디지털 기술이 세계 곳곳에서 기후위기에 대처하고 있다. 온난화와 기후위기를 초래한 디지털을 디지털 기술로 대응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후위기는 일부 지역에서, 일부 국가에서 한정하여 일어난다기보다는 국경을 넘어 발생한다. 따라서 첨단화된 디지털 기술을 특정 기업이, 특정 국가가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공공재’라는 인식을 지니고, 공유하고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UN의 ‘디지털 협력’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처럼,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기후위기와 생태계 보호를 위해 국제적인 디지털 협력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방효창 교수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