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종전 최고기록 30% 상회, 수출단가 2만3000달러 신기록...양적·질적 성장
미국 내 하이브리드차 우세 “‘전기차-하이브리드차’ 동시 생산전략 주목”
현대차 디 올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 / 현대차 제공
현대차 디 올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 / 현대차 제공

[한스경제=김우정 기자] 지난해 국내 자동차 수출액이 사상 최대인 709억달러를 달성했다. 일등 공신은 친환경차였다. 그 중에서도 하이브리드(HEV)차의 성장세가 돋보였으며, 그 인기는 올해도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은 미국, 유럽 등 주요시장의 판매호조로 수출이 성장세를 견인했다. 이번에 달성한 수출액 709억달러는 기존 최고 수출액인 541억달러를 30% 이상 상회했다. 수출단가도 최고가인 2만3000달러를 기록해 양적, 질적성장을 이뤄냈다.

또한 지난해 자동차 생산량은 차량 반도체 등 부품공급 정상화로 424만대를 생산해 5년 만에 연생산 400만대 이상을 회복했다. 그중 65%인 277만대가 해외로 수출됐다.

산업부는 “이번 실적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친환경화와 전동화 추세로 고가의 친환경차 수출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친환경차 수출액은 242억8000만달러로, 전년보다 51% 확대됐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상 친환경차 수출량도 역대 최대치인 14만4000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수치다. 이를 통해 미국 시장에서 한국의 전기차(BEV) 시장 점유율은 2위를 차지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미국 자동차 시장은 2023년 대비 4% 증가한 1600만대 규모가 예상된다. 특히 IRA 규제로 친환경차의 판매 증대가 예상되는 만큼 전기차·하이브리드차(HEV)의 점유율 확대가 올해 실적을 보장할 전망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미국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의 성장률은 전기차를 넘어섰다.  김성래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 내에서 현대차가 전기차 부문에선 일본에 비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전기차 판매성장세가 하이브리드에 비해 둔화되고 있다”며 "국내 완성차업체들은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를 동시 생산하는 체계로 전환해 급증하는 하이브리드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르노코리아의 ‘XM3 E-TECH 하이브리드 for all’  / 르노코리아 제공
르노코리아의 ‘XM3 E-TECH 하이브리드 for all’  / 르노코리아 제공

지난해 국내 완성차 기업들의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에서도 하이브리드의 인기는 단연 돋보였다.

우선 현대차는 전년 대비 46.8% 증가한 20만3226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했다. 특히 전기차와 수소차의 판매량이 각각 전년 대비 13.9%, 57.4%로 줄어든 반면, 하이브리드차는 138.8%가 급증해 판매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아의 친환경차 판매량은 19만6421대로, 전년 누계 대비 12.4% 증가했다. 그중 하이브리드가 14만5102대, 전기차가 5만1319대가 판매돼 전체 판매량의 74%를 하이브리드차가 차지했다.

KG모빌리티는 지난해 토레스 EVX를 통해 전동화 전환의 신호탄을 알렸다. 곽재선 회장은 “전기차(EV) 플랫폼을 활용한 SUV 전기차와 픽업형 SUV를 비롯해 2025년 이후 고성능 하이브리드 SUV 출시 등으로 친환경차 풀라인업을 완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공표했다. KG모빌리티는 올해 최초의 전기 픽업트럭 'O100'을 출시할 예정이다.

유일한 친환경차로 볼트 EV·EUV를 보유한 한국GM도 올해 준대형 전기 SUV인 캐딜락 리릭을 출시할 예정이다. 브라이언 맥머레이 지엠한국연구개발법인(GMTCK) 사장은 “GM은 1회 충전 시 최대 720km 주행이 가능하고, 1kWh 당 생산비용이 100달러미만인 '얼티엄 배터리 팩'을 바탕으로 전동화 미래를 위해 나아가고 있다”라고 밝혔다. 

르노코리아는 올해를 '하이브리드 대중화의 해'로 선언한 르노코리아는 1월 초 하이브리드 모델 ‘XM3 E-TECH for all’를 출시했다. 하반기에는 중형 하이브리드 SUV 등을 출시할 예정이다.

정부도 지난해 수출동력이었던 친환경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산업부는 “울산·화성 등에 추진 중인 전기차 전용공장 등 국내 업계의 전동화 투자가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임시투자 세액공제를 연장하고 관련 투자애로를 적극적으로 해소하겠다”며 “친환경 모빌리티에 대한 시장 확대와 걸림돌 제거 등을 위해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방안’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우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